경매라고 하면 대부분 "부동산을 싸게 사는 방법" 정도로 생각하곤 합니다.
하지만 경매는 단순한 가격 싸움이 아니라, 법률 절차를 통해 재산권을 회수하는 과정입니다.
오늘은 부동산 경매 입문 시 반드시 알아야 할 경매의 개념과 종류, 그리고 공매, 법원 경매, 사경매의 차이를 정리해보겠습니다.
📌 경매란?
경매는 채무자가 빚을 갚지 못했을 때, 국가가 대신 해당 재산을 압류하고, 법적인 절차를 통해 매각해 그 대금을 채권자에게 지급하는 과정을 말합니다.
즉, 단순한 "싸게 사기 위한 입찰"이 아니라 채권자 보호를 위한 법적 시스템</strong인 것이죠.
📘 법원 경매 vs 공매 vs 사경매
1. 법원 경매
- 민사집행법에 따라 법원이 주관
- 저당권이나 판결 등을 통해 경매 개시
- 대표 포털: 대법원 경매 사이트
2. 공매
- 국세청, 한국자산관리공사(캠코) 등 공공기관 주관
- 세금 체납 등으로 국가가 압류한 재산을 매각
- 전자입찰 방식 (대표 포털: 온비드, 유니패스)
3. 사경매
- 개인 간 거래처럼 비공식적인 경매
- 일반인 입장에서는 정보 접근이 어려움
- 주의가 필요하며 초보자에게는 비추천
📚 경매의 종류 – 임의 경매 vs 강제 경매
임의 경매는 저당권 등의 담보권에 따라 채권자가 직접 신청해서 집행되는 경매입니다.
반면, 강제 경매는 소송을 통해 판결을 받은 뒤 법원이 강제 집행하는 경우입니다.
- 임의 경매: 저당권, 근저당권이 있는 경우
- 강제 경매: 판결로 확정된 채권을 바탕으로 집행
두 방식 모두 법원의 절차를 따르지만, 시작 조건과 공신력 면에서 차이가 존재합니다.
✅ 오늘의 핵심 요약
- 경매는 법률적 절차를 통한 채권 회수 시스템이다.
- 공매는 국가 기관이 주관, 법원 경매는 사법부가 주관
- 임의 vs 강제 경매는 채권 성격과 집행 방식이 다르다
다음 글에서는 임의경매와 강제경매에 대해 알아볼게요!
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😊
'엄마의 돈 공부 노트 > 엄마의 부동산 로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3편] 경매 입찰 방식 완전 정리 – 기일 입찰 vs 기간 입찰, 뭐가 다를까? (3) | 2025.05.21 |
---|---|
[2편] 강제 경매는 국가만 할 수 있나요? 임의 vs 강제 경매 한눈에 정리! (0) | 2025.05.14 |
[0편] 아파트를 샀지만 오르지 않았습니다 – 경매 공부를 시작하게 된 이유 (0) | 2025.04.30 |
아파트를 샀지만 오르지 않았습니다. 나의 부동산 투자 실패담 (1) | 2025.04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