매달 빠져나가는 돈, 어떻게 정리하고 계신가요?
저는 가계부를 정말 많이 써봤어요.
문자 자동 연동되는 앱 가계부도 써보고,
여기저기서 받은 엑셀 파일도 활용해봤지만...
결론은 하나였어요.
“내 손으로 직접 쓰는 게 제일 오래 가더라구요.”
수기로 정리하는 나만의 방식
요즘은 매일 쓰는 대신
일주일에 한 번 다이어리에 수입과 지출을 적고,
한 달에 한 번 엑셀 파일로 정리하고 있어요.
매일 적지 않아도 괜찮다는 걸 알게 되니
스트레스도 줄고, 오히려 더 꾸준하게 쓰게 되더라구요.
지출을 ‘고정’과 ‘변동’으로 나누기 시작했어요
그리고 어느 순간부터는
‘지출의 성격’을 나눠서 보기 시작했어요.
그러자 돈이 어디서 빠져나가는지 훨씬 명확하게 보이더라구요.
📌 고정지출 (매달 거의 일정하게 나가는 돈)
- 월세
- 관리비/공과금
- 통신비
- 보험료
- 정기 구독 서비스 (넷플릭스 등)
- 기부금
- 아이 어린이집 육아비
이 항목들은 꼭 빠져나가는 돈이기 때문에
월초에 고정비로 체크해두고 있어요.
🌿 생활비 (변동 지출, 조절 가능한 항목)
- 식비
- 카페/외식비
- 교통비
- 생활잡화
- 병원비
이 부분은 매달 사용한 금액을 항목별로 정리한 후,
1년 동안 평균을 내서 내년 예산을 계획하는 데 활용하고 있어요.
지출 분석을 하면 삶의 패턴이 보여요
올해는 각 항목별로 12개월치를 누적해서
내년 예산을 조금 더 똑똑하게 짜보는 게 목표예요.
단순한 가계부가 아니라
“우리 가족의 삶을 정리하는 도구”처럼 느껴져요.
마무리하며
지출을 나눠서 본다는 건 내가 돈을 어떻게 쓰고 있고,
어디에 가치를 두는지를 들여다보는 일이더라구요.
혹시 여러분은 고정지출과 생활비,
어떻게 정리하고 계신가요?
나만의 방법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함께 이야기 나눠주세요 😊
'엄마의 돈 공부 노트 > 생활 속 재테크 루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간 고정지출 평균 내는 법 + 2025 예산 5월 중간점검 (0) | 2025.05.16 |
---|---|
수기 가계부, 결국 이게 가장 오래가더라구요 (2) | 2025.05.05 |
[2025년 6월부터] 전세계약 후 30일 내 임대차 신고 의무화! 과태료 주의하세요 (0) | 2025.05.03 |
[2025 최신] 전세계약 후 주택임대차 거래신고, 온라인으로 하는 방법 (확정일자 자동 부여) (0) | 2025.04.23 |
비상금, 꼭 필요할까요? 저는 챗GPT 얘기를 듣고 생각이 달라졌어요 (0) | 2025.04.09 |